라이브러리
[PHP] cubrid_set_autocommit - 연결의 자동 커밋 모드 설정
cubrid_set_autocommit 함수란?
cubrid_set_autocommit 함수는 CUBRID 데이터베이스와의 연결에서 자동 커밋 모드를 설정하는 함수입니다. 자동 커밋 모드가 활성화되면, 각 쿼리 실행 후 자동으로 커밋이 발생합니다. 반면, 자동 커밋 모드가 비활성화되면, 쿼리 실행 후 수동으로 커밋 또는 롤백을 수행해야 합니다.
cubrid_set_autocommit 함수의 사용법
cubrid_set_autocommit 함수의 사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#hostingforum.kr
php
bool cubrid_set_autocommit ( resource $conn_id , int $autocommit )
- `$conn_id` : CUBRID 데이터베이스와의 연결 리소스입니다.
- `$autocommit` : 자동 커밋 모드를 설정하는 플래그입니다. 1이면 자동 커밋 모드가 활성화되고, 0이면 비활성화됩니다.
예제
다음 예제는 자동 커밋 모드를 활성화하고, 그 후에 쿼리를 실행하여 데이터를 삽입한 후 커밋을 수행하는 예제입니다.
#hostingforum.kr
php
<?php
// CUBRID 데이터베이스와의 연결을 설정합니다.
$conn = cubrid_connect("localhost", 33000, "demodb");
// 자동 커밋 모드를 활성화합니다.
cubrid_set_autocommit($conn, 1);
// 데이터를 삽입합니다.
$c = cubrid_execute($conn, "INSERT INTO test VALUES ('test1', 'test2')");
// 데이터가 삽입된 후 커밋을 수행합니다.
cubrid_commit($conn);
// 데이터를 삭제합니다.
$c = cubrid_execute($conn, "DELETE FROM test");
// 데이터가 삭제된 후 롤백을 수행합니다.
cubrid_rollback($conn);
// 연결을 닫습니다.
cubrid_disconnect($conn);
?>
예제 설명
위 예제에서, `cubrid_set_autocommit($conn, 1)` 함수를 호출하여 자동 커밋 모드를 활성화합니다. 그 후, `cubrid_execute()` 함수를 호출하여 데이터를 삽입한 후, `cubrid_commit()` 함수를 호출하여 커밋을 수행합니다.
그 후, 데이터를 삭제한 후 `cubrid_rollback()` 함수를 호출하여 롤백을 수행합니다. 이 예제는 자동 커밋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에만 작동합니다.
참고
- 자동 커밋 모드는 연결 단위로 설정됩니다. 따라서, 연결을 닫고 다시 연결한 후 자동 커밋 모드를 설정해야 합니다.
- 자동 커밋 모드는 트랜잭션의 일부로 작동합니다. 따라서, 트랜잭션 내에서 자동 커밋 모드를 설정하고, 트랜잭션을 커밋하거나 롤백해야 합니다.
-
- 나우호스팅 @pcs8404
-
호스팅포럼 화이팅!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